본문 바로가기
쇼핑정보/제품리뷰

게이밍방송 데스크탑 구매기! Ryzen 7 5700X, RTX3060

by Sylerbee 2022. 9. 23.
728x90
이전 이야기

지난번에 아무것도 모른 채로 게이밍 방송용 데스크탑 알아보았었죠.

 

게이밍 데스크탑 알아보는 이야기 (tistory.com)

 

게이밍 데스크탑 알아보는 이야기

직장을 가지고 일을 하면서 퇴근 후에 잠시 시간을 내어 게임을 하거나 주말에 게임을 할 생각으로 게이밍 데스크탑을 맞춰볼까 한다. 겸사겸사 트위치 스트리밍 혹은 유튜브에 컷편집을 올릴

sylerbee.tistory.com

 

구매완료!

 

오늘은 구매까지 완료했습니다.

 

여기저기 사이트 알아본 결과, 같은 부품 / 비슷한 라인에서는 컴퓨존이 제일 싸더라구요

 

오랜시간 검증받은 기업이기 때문에 여기로 하기로 했습니다.

 

컴퓨존 게이밍 추천조립 PC중에, Ryzen 7 5700X 라인으로,

 

그래픽카드는 RTX3060으로 가기로 했습니다.

 

제품링크는 => 컴퓨존 : 게이밍 추천 조립PC_R7293 (5700X/3060) (compuzone.co.kr)

 

게이밍 추천 조립PC_R7293 (5700X/3060)

[컴퓨존] 게이밍 추천 조립PC_R7293 (5700X/3060)

www.compuzone.co.kr

 

 

제가 욕심이 가득가득 하기 때문에

 

이왕 맞추는거 용량 넉넉하게 가자! 해서

 

SSD 500GB, HDD는 2TB 추가해버렸습니다.

 

마찬가지로 램도 대부분의 게임컴이 16GB로 세팅하길래 두배인 32GB로 맞춰버립니다

 

하나하나 왜 그랬는지 얘기해볼게요

 

 

 

CPU RYZEN 7 5700X

게이밍 컴퓨터를 맞추려고 알아보다보면 대부분의 라인업이 인텔i5 혹은 라이젠5를 추천하더라구요

 

각각 코어와 스레드가 6/12인 CPU인데

 

저도 잘 모르고, 그냥 코어와 스레드 숫자가 높으면 좋다고 생각해두면 됩니다.

 

 그래픽카드와 어느정도 사양이 맞아야 하는데요

 

너무좋은 그래픽카드에 나쁜 CPU를 달면, 성능 최적화가 안된다는 개념입니다.

 

물론 그 반대도 마찬가지겠죠(?)

 

아무튼 그래서 대부분의 추천이 i5와 라이젠5 이니까

 

저는 방송스트리밍 혹은 녹화해서 컷편집 할 생각으로 i7혹은 라이젠7을 구매할 생각을 했습니다.

 

그런데, 라이젠7은 8코어/16스레드의 스펙이고, i7은 12코어/20스레드의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격은 라이젠7 5700X 모델이 약 30만원, 인텔i7-12700 라인이 50만원이 넘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미 게이밍스펙에서 오버해서 라이젠7 / i7을 가는것이니, 라이젠7으로 타협하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라이젠7 5700X 모델을 선택하게 된 것이지요

 

더 자세한 CPU 스펙은 나무위키를 참고해보세요. 

 

AMD ZEN 3 마이크로아키텍처 - 나무위키 (namu.wiki)

인텔 코어 i 시리즈/12세대 - 나무위키 (namu.wiki)

 

그래픽카드 RTX3060

현재 그래픽카드 시장은 3050~3080 라인이 꽉 잡고있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히 3060과 3070~3080라인은 가격차이가 어마어마 하더라구요

 

그래픽카드는 며칠전에 4000번대가 발표되었는데요

 

너무비싼 가격으로 인해 수요가 떨어질 것이라 판단했습니다.

 

3천번대 라인이 계속 잘 팔릴것같더라구요

 

 

게임하는 친구들의 얘기를 들어보니, 3060 이상이면 충분하다는 의견을 들었습니다.

 

정해진 예산은 150만원 이하였기 때문에, 더 이상의 업그레이드는 힘들다고 판단하고 3060으로 진행하였습니다.

 

 

SSD 500GB

SSD는 500GB를 기본으로 하는 모델이었다. 

 

충분하다 판단하였다.

 

HDD 2TB

HDD를 추가할 필요성을 느꼈다. 아무래도 영상작업과 게임을 다운로드 할 공간이 필요해 보였다.

 

SSD가 500기가이기 때문에 무난할 수도 있겠으나,

 

최근에 GTA5가 100기가가 넘는걸 보고 어쩌면 불편할수도 있겠다 판단이 들었다.

 

테스트방송으로 영상저장을 해보았는데 22분 녹화한 영상이 1.5GB가 나오더라구요

 

3시간 방송한다 치면. 대략 15기가정도 나온다는 거고, 6시간 방송하면 30기가가 넘을 수 있겠다 판단하니

 

영상이 얼마나 쌓일지도 모르고, 게임들도 얼마나 깔아댈지 모르겠는 상황이라

 

HDD에 적어도 1TB는 넣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근데 1TB랑 2TB랑 만원인가? 별차이 없길래...

 

2TB로 박아버렸습니다 하하...

1TB가 6.3만원이고 2TB가 7.5만원이다.

 

 

 

램 32GB

제가 글을 쓰거나 자료조사를 할 때, 등등 인터넷창을 많이 열어둔 채로 많이 작업하는데요

 

여러가지 작업을 동시진행할 때에 램이 많이 필요하겠더라구요

 

그리고 게임이나 영상작업 할때에도 훨씬 원활할것이라 판단했구요

 

그래서 8GB 2개 대신에 16GB 2개를 달기로 했습니다.

 

위의 모델에서 옵션추가하여 약 7만원 추가.

 

 

 

키보드 로지텍 K120

가장 싸고 보편적인 키배열인 로지텍 제품 9900원짜리 구매.

 

유선 / 블랙이다.

 

불편하면 그때 가서 생각해보기로 함

 

마우스

원래 노트북에 연결해서 쓰던게 있어서 이거 쓰기로 함.

 

쿠팡에서 산 드라칸 게이밍 마우스이다.

쿠팡! | 드라칸 LED 게이밍 유선 마우스 DGM-1 (coupang.com)

모니터

모니터는 아직 구매 결정 못하였음.

 

아마도 32인치로 살 것 같다. 브랜드는 중소기업껄로.

 

구매 후 다시 글을 남기겠다.

 

기타부품

-랜선

현재 랜선을 연결해서 와이파이에 터뜨리는 중인데, 와이파이 공유기에 랜선하나 꽂아서 유선으로 컴퓨터에 연결해야 하므로, 랜선 2미터 짜리를 구매함. 가격은 몇백원

 

-멀티탭

본체, 모니터 정도의 전원선을 추가 연결하려면 멀티탭이 필요하다 판단. 5구짜리 하나 구매. 가격은 약 6천원

 

-스피커/음향기기

스피커는 구매계획 없으나, 모니터의 스피커가 시원찮거나 맘에 안들면 아마 스피커 혹은 이어폰/헤드셋 으로 알아볼 것 같다.

 

 

 

 

그렇게 해서 구매한 구매내역은 아래에 있습니다.

 

 

 

 

 

728x90

댓글